반응형
SMALL
실업급여 수급 자격 조건 및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방법 알아보기!
✅ 실업급여 수급 자격 조건 (2024년 기준)
- 이직 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함
→ 즉,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 필요합니다. - 비자발적 퇴사여야 함
→ 권고사직, 계약만료 등은 가능 / 자발적 퇴사는 원칙적으로 불가
🧩 핵심 포인트: 국민연금 vs 실업급여
- 국민연금과 사학연금은 ‘연금제도’입니다.
-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서 나오는 급여입니다.
👉 따라서, 국민연금에 가입되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실업급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.
중요한 건 고용보험 가입 여부와 기간입니다.
🧾 질문 상황 분석
- 16개월간 국민연금에 가입 → 이후 사학연금으로 전환
- 이 기간 동안 고용보험에도 가입되어 있었다면, 그 기간이 실업급여 산정에 반영됩니다.
- 반면,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공무원·사립학교 교직원 등은 고용보험 적용 제외 대상이라 실업급여 대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.
✅ 요약정리
항목적용 여부
국민연금 가입만으로 실업급여 수급 | ❌ 불가능 (고용보험과 무관) |
고용보험에 180일 이상 가입 | ✅ 실업급여 수급 가능 조건 중 하나 충족 |
사학연금 가입 이후 고용보험 미가입 | ❌ 실업급여 수급 어려움 가능 |
혹시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 이력을 확인하시려면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


🔍 고용보험 가입이력 확인 방법 (PC 기준)
①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
② 로그인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 인증(카카오, PASS 등)으로 로그인하세요.
③ “개인서비스” 클릭 → “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”
- 메뉴 경로:
개인서비스 > 고용보험 > 고용보험 피보험자 이력조회
④ 고용보험 가입 기간 확인
- 여기서 언제부터 언제까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는지, 총 가입 일수 등을 볼 수 있습니다.
- 실업급여 수급 자격 조건인 최근 18개월 중 180일 이상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.
📱 모바일에서도 가능해요
- 고용노동부 '고용보험' 앱 또는
- 정부 24 / 국민비서 / PASS 앱 등에서 고용보험 가입이력 확인 가능
💡 참고 Tip
- 이력서나 경력증명서에는 국민연금, 사학연금 여부만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.
- 실업급여는 무조건 고용보험 가입이력 기준이므로, 여기서 정확히 확인하는 게 제일 확실합니다.
반응형
LIST
'세상이야기 > 정보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천 영어학원 TOP5 상세 정보 (0) | 2025.04.17 |
---|---|
부천 영어 어학원 추천 (2) | 2025.04.17 |
초보 반려인을 위한 추천 견종 TOP 10 (2) | 2025.04.15 |
천재교육 밀크티~천재교육 밀크티 가격 정보! (0) | 2021.01.30 |
자동차검사 예약 방법 및 자동차 검사 기간 조회! 자동차 검사 총정리! (0) | 2020.11.28 |